전라남도의회 조옥현 도의원, “수묵비엔날레, 지역예술인 성장사다리 설계, 지금이 적기”
검색 입력폼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 조옥현 도의원, “수묵비엔날레, 지역예술인 성장사다리 설계, 지금이 적기”

“청년예술인 지원, 단발성 공모 아닌 성장 경로 중심으로 전환해야”

전라남도의회 조옥현 도의원
[밝은뉴스]전라남도의회 조옥현 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2)은 지난 7월 15일 문화융성국 소관 업무보고에서 ‘2025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의 지역 예술인 연계성과 청년예술인 지원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조옥현 의원은 “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전시가 끝난 후 과연 지역에 무엇이 남는가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크다”며 “이제는 일회성 행사를 넘어, 지역 예술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이끌어갈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특히 2025 비엔날레 참여 작가 83명 중 전남 작가는 11명에 불과하다”며 “지역 예술인들이 꾸준히 참여할 수 있도록 별도 전시공간 마련, 창작 워크숍 운영, 상설 창작지원 프로그램 도입 등 실질적 교두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전라남도는 수묵화를 중심으로 한 K-컬처 확산과 세계화를 위해 ‘전남수묵비엔날레아트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해당 센터는 목포시 용해동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연면적 7,011㎡)로 들어서며, 상설전시장, 공연장, 창작공간, 편의시설 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개관은 2027년 12월로 예정돼 있으며, 향후 비엔날레의 상시 거점이자 지역 문화예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조옥현 의원은 “아트센터는 단순한 전시장에 그쳐서는 안 되며, 지역 작가의 상설 전시 및 창작 활동이 지속될 수 있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며 “초기 설계부터 예술인의 참여 구조와 공공성 확보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청년예술인 지원 정책과 관련해서도 “현재 대부분의 지원사업이 연 1회 공모에 그치고 있으며, 이후 이력 관리나 후속 성장 기회가 부족하다”며, “공모–육성–확장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지원체계를 도입하고, 수혜자가 다음 세대의 멘토나 강사로 환류될 수 있는 선순환적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조 의원은 “지역 문화정책이 단순한 지원에 머물지 않도록, 모든 예술분야를 망라하는 구조적 설계가 필요하다”며, “전남도와 문화재단에서는 모든 정책입안시 지역예술 전반의 성장 기틀이 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을 토대로 설계해 달라”고 당부했다.
강경구 기자 smilenews@kakao.com